2025-09-23 HaiPress
코스맥스,韓화장품업체 최초
화장품학회 ‘기초연구’ 부문 수상
스트레스 호르몬 넣은 피부서는
70%만 검은 머리카락 자라나
동물실험으로 밝혔던 작동원리
모낭 오가노이드 통해 구현
경서연 코스맥스 R&D 센터 책임연구원이 프랑스 칸에서 열린 세계화장품학회에서 스트레스성 새치 관련 연구를 발표하고 있다. <코스맥스>
국내 연구진이 스트레스를 받아 머리가 세는 ‘스트레스성 새치’가 자라나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인공장기(오가노이드)를 통해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 18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열린 세계화장품학회(IFSCC)에서 발표돼 본상인 ‘기초연구 어워드’를 수상했다.
올해로 35회째를 맞는 이 학회에서 한국 연구진이 본상을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새치가 스트레스로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은 동물실험으로 알려졌으나,이를 인체 단위에서 구현해 본 적은 없었다. 인체에 스트레스를 주는 방식의 실험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오가노이드 사이언스사의 오가노이드를 활용해 연구를 주도한 경서연 코스맥스 R&I센터 책임연구원은 “화장품 업계에서는 10 여 년 전부터 화장품 동물실험을 진행하지 않아 새치발생을 억제하는 화장품 소재 개발이 어려웠다”고 말했다.
경 연구원은 대신 사람의 장기를 미니어처처럼 만든 모낭 오가노이드에 주목했다. 줄기세포를 피부로 분화해 모발까지 자라는 모낭 오가노이드를 만들고,여기에 스트레스 호르몬을 넣은 것이다.
120일동안 100여 가닥의 머리카락이 자랄 수 있는 상태로 배양한 모낭 오가노이드에 스트레스 유발 호르몬인 노르에피네프린을 투여하자 스트레스 호르몬을 투여하지 않은 조직과 달리 밝은 색 머리카락이 자라났다. 경 연구원은 “정상 모발의 검은 색을 100으로 봤을 때 검은색의 수치가 70 정도밖에 되지 않는 밝은 모발이 자랐는데,우리가 말하는 새치와 매우 유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노화에 의해 자연스럽게 멜라닌 생성 세포가 소진돼 회색 머리가 자라는 경우와 스트레스성 새치는 자라나는 양상이 달랐다”고 덧붙였다.
코스맥스는 지난 2014년부터 73건의 연구성과를 화장품학회에서 발표했으나,본상은 처음 수상했다. 올해 학회에는 1200개 가량의 초록이 접수됐고,이 중 68개 연구만 구두 발표 대상으로 선정됐다. 구두 발표 68개 중 본상은 기초연구,응용연구,포스터발표 3개 부문에서 1명씩만 수상했다.
경 연구원은 “학회 논문을 블라인드 처리해 심사하는데도,코스맥스 연구팀의 연구결과가 68개 중 5개나 선정됐을 정도”라며 “기존에는 시세이도 등 일본 화장품 업체 수상이 많았는데,이제 한국 화장품 업계의 연구 성과가 상당한 수준에 올라왔다는 것을 인정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
코스맥스는 이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새치 관련 화장품 소재를 스크리닝해 개발 중이다. 향후 새치 발생을 예방하거나,새치가 나는 속도를 늦추는 헤어제품 개발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